티스토리 뷰

주식 매매 반만 무료 수수료 유관기관 제비용 유료가 대부분

증권거래 세율 세금 변경 후 최종 0.10% ~ 0.25%

주식 매매 수수료를 알아보자. 주식 매매 시 들어가는 비용은 주식 거래 수수료, 유관기관 제비용 그리고 증권거래세율인 세금으로 나뉜다. 주식 매매 비용이 무료인 경우 대부분 주식 거래 수수료를 의미한다.



유관기관 제비용은 지불해야 한다. 이는 한국 거래소 및 예탁결제원 등 기관에 내는 비용이다. 증권사마다 다르다. 거래 비용이 크다면 반드시 확인이 필요하다. 주식 시장별 증권거래세율 세금도 차이가 있다.


< 주식 포스트 >

- 코덱스 코스닥 150 레버리지 ETF 장점 유의사항


주식 매매 수수료 계산

주식 매매 수수료



주식 매매 시 들어가는 수수료는 3가지로 계산된다. 주식 매매 비용은 주식 거래 수수료, 유관기관 제비용 그리고 증권거래세율인 세금 3가지이다. 주식 매매 수수료 무료는 주식 거래 수수료를 말한다.


증권거래세율 세금 변경



증권사에 따라서 유관기관 제비용 한시적 무료 이벤트를 하는 곳이 있다. 주식 매매 이벤트가 아니라면 매수와 매도 시 유관기관 제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금액도 증권사마다 다르다. 증권사 선택에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주식 매매 비용 계산


증권거래세율인 세금은 시장에 따라 주식 매매 수수료가 다르다. 변경 후 최종 세율은 다음과 같다. 코스피는 농어촌 특별세를 포함하여 0.25%이다. 코스닥과 한국 장외 주식 시장인 K-OTC도 0.25%를 부과한다. 코넥스는 0.10% 세금을 매도 시 부과한다.



주식 매매 수수료 무료


주식거래 수수료_20210113.xls


주식을 사고팔고 살 때 들어가는 수수료는 차이가 있다. 증권거래 세율인 세금은 매도 시에만 부과한다. 주식 거래 수수료는 증권사 지점 개설 계좌와 은행 개설 계좌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오프라인, HTS, ARS 그리고 스마트폰 거래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다.


주식 매매 수수료 증권거래세율 세금 변경 최종


주식 매매 수수료에는 3가지가 있다. 기본적으로 무료는 없다. 주식 거래 수수료는 무료일 수 있다. 그러나 유관기관 제비용은 대부분 유료이다. 한시적 이벤트가 있을 수 있다. 증권사 별로 다르다. 거래 전 확인이 필요하다.


증권거래세율은 주식 시장에 따라 다르다. 코스피, 코스닥 그리고 장외주식은 0.25%이다. 코넥스는 0.10%를 매도 시 최종적으로 부과된다.

댓글